2025.5.6 [라리가 34R] 지로나 vs 마요르카 분석

[스포이지] 2025.5.6 [라리가 34R] 지로나 vs 마요르카 분석
댓글 0 조회   47

작성자 : 분석봇
게시글 보기

005e85ac9e8265269b07081ad9eed46d_1746430942_6377.png

✅지로나 FC: 하프라인 위 압박과 측면 전개로 상대를 짓누르는 팀

지로나는 3-4-3 포메이션을 기반으로, 넓은 측면 활용과 빠른 전환 플레이를 주 무기로 삼는 팀입니다. 특히 홈에서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템포를 끌어올리는 전술이 인상적이며, 상대가 수비적으로 내려설수록 박스 근처를 둘러싸며 압박 강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상대 팀들이 경기 후반 체력 저하와 함께 집중력을 잃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전방에서는 베테랑 공격수 크리스티안 스투아니(Cristian Stuani)가 버티고 있으며, 박스 안에서의 포지셔닝 감각과 세컨드볼 대처 능력은 여전히 라리가 수준에서도 위협적입니다. 측면에서는 치간코프(Viktor Tsygankov)의 침투 타이밍과 컷인 움직임이 팀 공격의 중요한 옵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는 좁은 공간에서도 빠르게 슈팅 찬스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마요르카처럼 깊게 수비를 구축하는 팀을 상대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좌측 윙백 역할을 맡고 있는 미구엘 구티에레스(Miguel Gutiérrez)는 전진성과 크로스 정확도를 겸비한 자원으로, 경기 템포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상 이슈가 일부 있지만, 홈에서는 전술적 완성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하프스페이스를 파고드는 패턴 플레이가 꾸준히 위협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마요르카: 수비 중심 전술과 롱볼 의존도가 뚜렷한 팀

마요르카는 5-4-1 포메이션을 중심으로 극단적인 수비 전술을 구사하는 팀입니다. 깊은 수비 라인을 유지하면서 상대의 실수를 유도한 뒤, 롱볼 기반의 역습으로 전환을 시도합니다. 하지만 공격으로의 연결 과정에서 중원 구성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적인 점유율과 전진 패스 성공률이 낮은 편입니다.


중원에서는 다르데(Sergi Darder)와 사무 코스타(Samu Costa)가 수비적 임무를 수행하며 상대 공격을 차단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좁은 전개 구조와 낮은 활동량으로 인해 전환 시 전방 연결이 자주 끊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마요르카는 상대 진영에서의 위협적인 장면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공격에서는 라린(Cyle Larin)이 최전방을 책임지고 있지만, 고립된 상황이 많아 실질적인 마무리 기회는 제한적입니다. 마요르카는 공격보다는 수비 블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으며, 특히 본토 원정 경기에서는 이동 거리로 인한 체력 부담이 경기력 저하로 이어지는 모습이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리적 특성상 마요르카는 섬에 위치한 구단으로, 장거리 원정을 치를 때마다 후반 집중력 저하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지로나처럼 활동량이 많은 팀을 상대로 더욱 두드러질 가능성이 큽니다.


⭐경기 예측: 홈 강세와 전술적 상성에서 앞서는 지로나

이번 매치는 여러모로 지로나에 유리한 전술적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지로나는 하프스페이스 침투와 측면 전개를 활용해 박스 앞에서의 마무리 능력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홈에서는 전환 속도와 활동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반면 마요르카는 수비에 치중한 나머지 공격 전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원정 시 체력 문제로 경기 후반 무너지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마요르카가 수비적으로 버티며 실점을 최소화하려 할 것으로 보이지만, 지로나의 지속적인 측면 압박과 전환 템포를 감안했을 때 결국 한 골 정도는 허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홈 강세와 공격 완성도, 전술적 상성을 모두 감안하면, 지로나가 경기 주도권을 쥐고 승리를 거둘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상 스코어: 지로나 1-0 승리

스포츠 분석
제목
  • [스포이지] 2025.5.6 [K리그1 12R] FC안양 vs FC서울 분석
    36 05.06
  • [스포이지] 2025.5.6 [K리그1 12R] 제주SK vs 강원FC 분석
    38 05.06
  • [스포이지] 2025.5.6 [J2리그 14R] 제프유나이티드 vs 오미야 분석
    37 05.06
  • [스포이지] 2025.5.6 [J1리그 15R] 도쿄베르디 vs 요코하마FC 분석
    33 05.06
  • [스포이지] 2025.5.6 [J1리그 15R] 가시와 vs 시미즈 분석
    31 05.06
  • [스포이지] 2025.5.6 [라리가 34R] 지로나 vs 마요르카 분석
    49 05.05
  • [스포이지] 2025.5.6 [세리에A 35R] 제노아 vs AC밀란 분석
    69 05.05
  • [스포이지] 05월 04일 10:38 MLB LA에인절스 vs 디트로이트
    143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8:15 MLB 애틀랜타 vs LA다저스
    175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8:15 MLB 볼티모어 vs 캔자스시티
    130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8:10 MLB 밀워키 vs 시카고C
    217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8:05 MLB 텍사스 vs 시애틀
    201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7:40 MLB 신시내티 vs 워싱턴
    131 05.03
  • [스포이지] 05월 04일 07:05 MLB 필라델피아 vs 애리조나
    148 05.03

로그인 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